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현금영수증 소득공제 한도 및 지출증빙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한도

  • 총 급여 7천만 원 이하 : 300만 원
  • 총 급여 7천만 원 초과 1.2억 원 이하 : 250만 원
  • 총 급여 1.2억 초과 : 200만 원

총 급여에 따라서 한도가 달라지는데요. 예전에 코로나 터진 시기에는 일시적으로 상향했던 적이 있었는데 그 정보는 이미 지나간 것이고 본 내용으로 보시면 됩니다.

여기에서 말하는 한도는 현금영수증만 얘기하는게 아니고 신용카드와 체크카드까지 모두 포함하는 겁니다.

한도가 딱 정해져있기 때문에 지름신 들려서 막 지른다고 연말정산에서 혜택을 크게 보는게 아니에요.

 

 

현금영수증 소득공제 혜택 확인 절차

  1. 먼저 카드, 현금 사용액 합산한 것이 총소득의 25%를 초과하는지 확인하세요.
  2. 그리고 초과한 부분에서 현금영수증 사용액의 30%만큼 곱하면 소득공제 혜택입니다.

25%를 무조건 초과해야되는게 첫번째 조건이고요. 이걸 달성했다고 해서 축하받을 일이 아닙니다.

25%에 해당하는 금액은 아무 효력도 없고요. 초과분이 중요합니다.

본인 연봉이 4,000만원인데 이번 해에 소비 지름신이 미쳐날뛰어서 현금영수증 초과분이 2,000만원이라고 해보죠.

여기에서 또 30%를 곱해야 하니까 소득공제 받는게 그렇게 큰 혜택이 아닙니다. 자꾸 공제액이 줄어들도록 뭔가 곱하죠.

 

 

지출 증빙 개념

현금영수증을 발급할 때 2가지가 있는데요.

하나는 소득공제인데 이건 직장인들 연말정산하기 위해서 선택하는 것이고요.

다른 하나는 지출증빙인데 이건 사업자 분들이 부가세 신고할 때 세액공제를 받으려고 하는겁니다.

엄격히 다르다는 것 알고서 다음부터 현금영수증을 제대로 발급받으시기 바랍니다.

 

 

 

모바일 현금영수증 앱카드 사용 방법

원래는 전화번호를 불러주거나 실물 카드를 제시해서 현금영수증을 처리하는데요. 이게 좀 귀찮죠.

모바일 앱카드로 발급받아서 바코드를 보여주면 진짜 편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아래 앱 중에 하나 접속해서 발급하면 됩니다.

  • 삼성페이, 롯데앱카드, 삼성앱카드, 신한PLAY, 하나머니, 리브메이트, 빌레터

 

 

 

지금까지 현금영수증 소득공제 한도 및 지출증빙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 900만원 납입 방법
연말정산 신용카드공제 계산법 2024년 기준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