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예단비 보내는 방법 현금 현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예단

예전에 신부가 시댁에 드리는 비단을 뜻하는 것이었는데 지금은 시댁 식구가 원하는 선물을 대신하고 있어요.

 

 

예단 예물 생략

이건 어른들의 세계라서 본인들이 이러쿵 저러쿵 할 수 있는게 아닙니다.

아직까지는 예전 풍습을 그대로 이어서 하고 싶어하는 어른들이 있기 때문에 상견례때 보통 의견들을 얘기하게 됩니다.

생략하면 서로 편하고 좋긴 한데 그렇지 않다면 아래처럼 준비하시면 되요. 어렵지 않아요.

 

 

결혼 예단절차

현금이 있고 현물이 있어요. 각각 보내는 방식이 다르니까 아래 내용을 잘 보시기 바랍니다.

예단 보내는 시기

양가 합의하에 혼례를 올리기 전 한두달 사이가 가장 적절합니다.

시댁에 방문할 때 문지방이 있으면 밟으면 안되고요.

모두 자리에 앉았을 때 예단을 신부 바로 앞쪽에 놔야 합니다.

그리고 신부는 시댁 부모님께 절을하고 신랑은 옆에서 절하지 않고 있어야 합니다.

 

 

예단비 금액

딱히 정해진 건 없는데 신부 결혼비용 예산의 10% 정도가 가장 무난한 케이스에요.

예단 관련해서 예산이 1,000만원이라고 하면 현금을 700정도, 나머지는 시댁 어른들께 선물할 현물을 준비하면 됩니다.

현금예단 얼마

앞자리 숫자 홀수로 준비.

예단으로 보내는 수표와 현금 모두 신권으로 준비.

분홍색 한지로 현금을 감싸기.

현금 봉투의 서식지에는 금액, 혼주성함, 보내는 날짜 작성.

“정성을 담아 봉한다”는 의미인 ‘근봉’을 겉면에 한문으로 적습니다.

예단 봉투는 흰봉투로 하지 않기.

현금을 넣은 후 봉투 입구는 봉하지 않기.

 

 

현물 예단은 어떻게 하나요?

선물은 아무거나 하면 되고, 여기에서 제일 중요한건 포장입니다.

청홍비단으로 감싸는게 좋고요. 현금도 같이 준다고 하면 별도의 예단봉투도 준비해야겠죠?

이 부분에 대해서 잘 모르겠다면 이걸 전문적으로 준비해주는 곳에 물어보는 것도 좋습니다.

기타

예단에 추가로 넣어주면 좋은게 있는데요. 귀이개, 손거울, 찹쌀 등이 있습니다. 각자 의미가 다 있어요.

  1. 귀이개 : 좋은 말만 들어주세요.
  2. 손거울 : 예쁘게 봐주세요.
  3. 동전주머니 : 알뜰살뜰 잘 살게요.
  4. 찹쌀 : 백년해로를 기원하는 의미
  5. 팥 : 액운을 물리치는 의미

봉채비 보내는법

꾸밈비라고도 합니다. 예단비 돌려주기라고 생각하면 되는데요. 신부쪽에서 예단을 보냈을 때 다시 돌려주는게 요즘 트렌드죠.

받은 예단 금액에서 절반 정도 돌려주는게 일반적이고, 당일에 다시 돌려주는건 맞지 않고 시간이 좀 흘러서 주는게 좋습니다.

신권으로 새로운 돈을 은행에서 받아와서 다시 주는것도 일반적인 예례입니다.

 

 

지금까지 예단비 보내는 방법 현금 현물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자녀 증여세 면제 한도액 개편안, 시행시기, 주의사항
공공분양 청약자격 3가지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